728x90
반응형
Document Type의 약자로, HTML이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미리 선언하여 웹브라우저가 내용을 올바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이다. <!DOCTYPE> 으로 선언하는데 이걸 해주지 않으면 호환 모드(quirks mode) 로 동작한다. 호환 모드의 경우 각 브라우저마다 문서를 나타내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가 훨씬 심해지게 된다.
DTD(Document Type Definition)
DTD(Document Type Definition)란 문서 형식을 정의해놓은 것으로 DOCTYPE을 명시할 때 사용한다. 즉, HTML 문서가 어떤 문서 형식을 따르는지 DOCTYPE에서 DTD를 지정하는 것이다.
예시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고 W3C Recommended list of Doctype declarations 에서 더욱 자세하게 확인 가능하다.
- XHTML 1.1
- XHTML 1.0
- Strict DTD
- Transitional DTD
- Frameset DTD
- HTML 4.01
- Strict DTD
- Transitional DTD
- Frameset DTD
- HTML 5
현 시점에선, HTML 5의 DTD로 DOCTYPE을 명시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.
<!DOCTYPE html>
728x90
'Frontend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E] local storage vs session storage vs cookie (0) | 2023.03.07 |
---|---|
[FE] 표준 모드와 호환 모드 (0) | 2023.03.05 |
[FE] CSS 애니메이션 vs JS 애니메이션 (0) | 2023.03.03 |
[FE] CI와 CD (0) | 2023.03.02 |
[FE] BOM과 DOM (0) | 2023.02.28 |